아이를 키우다 보면 예상치 못한 순간에 아이가 친구를 때리거나, 물건을 던지고, 심지어 부모에게까지 공격적인 행동을 보일 때가 있습니다. "혹시 우리 아이만 유독 공격적인 건 아닐까?"걱정도 되고, 어떻게 반응해야 할지 난감하죠.
하지만 이런 행동은 아이의 발달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나타날 수 있어요.
중요한 건, 아이의 행동 뒤에 숨겨진 이유를 이해하고, 그 상황에서 어떻게 도와줄 수 있을지를 생각해보는 거예요.

 

오늘은 아이의 신체적 공격 행동 유형을 네 가지로 나누어, 각 유형에 따른 엄마와 보호자의 대처법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아이의 공격적인 행동, 이렇게 나누어 있어요

1. 실수로 일어난 행동 (우발적 공격)

예시: 장난치다가 친구의 블록 탑을 무너뜨리거나, 옷을 입히려다 옆에 있던 아이를 팔로 치는

  • 아이의 마음: "일부러 그런 아닌데... 어쩌다 보니 이렇게 됐어요."
  • 이럴 이렇게:  

-        "어머, OO 일부러 그런 아니었구나. 그런데 옆에 있던 친구는 깜짝 놀랐을 수도 있어." 아이의 의도를 먼저 이해해 주되, 상대방의 감정을 언급하며 공감 능력을 키워주세요.

-        "우리 같이 무너진 블록을 다시 쌓아줄까?" 실수를 통해 책임감을 배우고, 관계 회복을 위한 행동을 유도합니다.

2. 재밌어서 하는 행동 (표현적 공격)

예시: 모래성을 신나게 발로 무너뜨리거나, 바닥을 쿵쿵 차면서 웃는

  • 아이의 마음: ", 이렇게 하니까 재밌다! 에너지가 넘쳐요!"
  • 이럴 이렇게:

-        "모래성을 무너뜨리는 정말 신나는구나! 우리 여기 넓은 공간에서 같이 발로 쿵쿵 해볼까?"

-        아이의 흥미를 인정하되, 안전한 방법으로 에너지를 발산하도록 도와주세요.

3. 상대를 일부러 괴롭히는 행동 (적대적 공격)

예시: 친구를 밀어 넘어뜨리거나, 때리고 도망가거나, 짓궂은 말로 친구를 울리는

  • 아이의 마음: " 우는 보니까 웃기다." 또는 " 지금 너무 속상하고 화나!"
  • 이럴 이렇게:

-        "OO 친구를 때리는 절대로 되는 행동이야. 친구가 많이 아팠겠다."

-        단호하고 명확하게 잘못된 행동임을 알려주고, 행동이 다른 사람에게 미치는 부정적인 결과를 설명해주세요.

-        "친구랑 같이 재미있게 놀고 싶으면 '같이 놀자'라고 말해보는 어때?" 공격적인 행동 대신 긍정적인 사회적 기술을 가르쳐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4. 무언가를 갖기 위해 하는 행동 (도구적 공격)

예시: 친구의 장난감을 빼앗거나, 놀이터 미끄럼틀 순서를 기다리지 못하고 밀치는

  • 아이의 마음: "저거 거야! 내가 먼저 가지고 거야!"
  • 이럴 이렇게:

-        "OO 자동차 장난감을 먼저 가지고 놀고 싶었구나. 그리고 XX OO 같이 놀고 싶었네."

-        "자동차를 OO 조금 가지고 놀다가 XX에게 빌려주는 어떨까?"

-        '차례대로 사용하는 방법'이나 '함께 놀이하는 방법' 제시하며 문제 해결 능력을 키워주세요.

 

빠르게 상황을 정리해야 이렇게!

  • 관심 돌리기: 아이가 친구의 장난감을 빼앗았을 , ", 저기 알록달록한 블록 ! 그걸로 멋진 탑을 한번 쌓아볼까?" 새로운 놀이나 활동을 제시하여 아이의 주의를 분산시키고 감정을 전환시켜 주세요.
  • 이유 설명하기: "OO 친구를 밀면 친구가 넘어질 있어. 우리는 친구가 다치지 않게 사이좋게 놀기로 약속했지?" 간결하고 명확하게 행동의 이유와 규칙을 설명해 주세요.
  • 진정 시간 주기: 아이가 격하게 흥분하거나 화를 때는 "OO, 저쪽 조용한 곳에서 잠깐 숨을 고르고 올까?" 아이 스스로 감정을 조절할 있도록 잠시 혼자만의 시간을 갖게 주세요.
  • 자극 줄이기: 아이들이 특정 장난감을 가지고 자주 싸운다면, 잠시 장난감을 치워두는 것도 방법입니다. 과도한 경쟁을 유발하는 환경적 요인을 제거해 주세요.
  • 자연스러운 결과 경험: "만약 친구를 계속 밀면, 지금 하는 재미있는 놀이에서 잠시 빠져 있어야 ." 아이의 행동에 따른 논리적인 결과를 알려주되, 지나치게 엄격하거나 감정적인 반응은 피해주세요.

 

아이의 공격적인 행동, 이렇게 도와주세요

  • 엄마의 차분한 태도: 아이가 울거나 소리를 지르며 격한 감정을 표현할 때도, 엄마는 침착한 목소리와 표정으로 반응해주세요. 부모의 안정적인 모습은 아이가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는 방법을 배우는 중요한 모델이 됩니다.
  • 다양한 놀잇감 준비: 특히 여러 아이들이 함께 때는 인기 있는 장난감을 두세 개씩 준비하여 서로 차지하려는 다툼을 줄여주세요.
  • 감정 조절 방법 가르치기: "화가 때는 어떻게 하면 좋을까? 우리 같이 '-' 하고 심호흡을 해볼까?", "손가락으로 하나부터 열까지 천천히 세어보는 어때?"
  • 긍정적인 행동 칭찬: "OO 친구에게 다시 장난감을 건네주는 모습을 보니 정말 멋지다!", "OO 순서를 기다리는 보니 정말 훌륭하네!"
  • 작은 신호 먼저 알아차리기: 아이가 짜증을 내거나, 안절부절못하거나, 평소와 다른 행동을 보인다면 공격적인 행동으로 이어지기 전의 신호일 있습니다.

 

이런 경우엔 전문가와 상의해보세요

만약 아이가 지속적으로 공격적인 행동을 보이거나, 감정 표현에 심한 어려움을 겪는다면 언어 발달 지연, 감각 과민, 발달 지연 다른 요인이 있을 있습니다. 또한, 공격적인 행동의 빈도나 강도가 심각하여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거나, 자신 또는 타인에게 해를 끼칠 위험이 있다고 판단될 때는 유치원/어린이집 선생님, 언어치료사, 발달 전문가와 상담하여 조기에 적절한 도움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의 공격적인 행동은 부모에게 어려움을 주지만, 사랑과 이해를 바탕으로 꾸준히 대처하면 충분히 변화할 있습니다. 

 

 

300x25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