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이를 키우다 보면
“내가 잘하고 있는 걸까?”
라는 질문을 수도 없이 하게 됩니다.
한밤중에 아이가 우는 소리에 잠을 깨고,
서서 밥을 먹거나,
그나마도 제대로 챙겨 먹지 못한 채 하루를 보내고,
아이의 울음과 감정 폭발 앞에서
나도 모르게 화를 내고,
그리고는 뒤돌아서 후회하는 하루하루.
사실,
부모라는 이름은
아이와 함께 조금씩 배워가는
끝이 없는 여정인것 같습니다.
아이가 원하는 건
‘완벽한 부모’가 아니에요
육아서적이나 전문가들이 말하는
양육법을 따라해 보지만,
현실 속 우리는 언제나 그처럼 여유롭지 않죠.
하지만 아이는 우리에게서
무언가 특별한 걸 원하지 않습니다.
그저 기댈 수 있는 사람,
감정을 받아줄 수 있는 사람,
돌아왔을 때 따뜻하게 안아줄 사람이면 충분해요.
이걸 바로 ‘애착’이라고 합니다.
아이와의 애착은 거창한 기술이 아니라
일상 속에서 쌓여가는 신뢰와 연결감입니다.
"내가 엄마를 필요로 할 때,
엄마는 내 곁에 있었어요"
아이가 가장 힘들고 혼란스러울 때,
엄마가 눈을 맞추고 말없이 안아주는 순간.
그 기억 하나가 아이의 마음에 오래오래 남습니다.
아이의 정서는 작은 순간들 속에서 자라지요.
- 넘어졌을 때 달려와 안길 수 있는 품
- 화가 나서 울 때, “왜 그랬는지” 물어봐주는 말
- 아무 이유 없이 안기고 싶을 때 거절당하지 않는 따뜻함
이런 평범한 일상이
아이에게는 “엄마는 언제나 내 편이야”라는
확신이 되어
평생의 정서적 기초가 됩니다.
때로는 ‘미안해’라는 말도 애착을 깊게 해요
실수하지 않는 부모는 없어요.
소리 지르고, 아이 마음을 미처 알아차리지 못하고,
감정적으로 대할 때도 많죠.
그럴 땐 솔직하게 말해주세요.
“엄마가 너무 피곤해서 너한테 화내버렸어. 미안해.”
이 말 한마디가 아이에게
“엄마도 감정이 있는 사람이구나. 나를 소중히 여기는구나”라는 믿음을 줍니다.
애착은 완벽해서 생기는 게 아니에요.
실수했을 때 다시 연결되는 그 순간들이 애착을 더욱 단단하게 해줍니다.
부모도 누군가의
애착 대상이 필요해요
아이를 돌보는 일은 참 고단하죠.
끊임없이 주고, 기다리고, 참아야 하는 일상입니다.
그래서 우리 부모도 누군가에게
마음을 기댈 수 있는 '안전한 사람'이 필요해요.
같은 경험을 나누는 친구,
따뜻하게 들어주는 가족,
또는 이렇게 글을 통해 마음을 나눌수 있는 이웃.
지치고 힘든 날,
내가 아이에게 해주는 그 따뜻한 시선을
나 자신에게도 한 번쯤 보내주세요.
아이와의 애착은 사랑하는 마음에서 시작되지만,
연결되고 회복되는 과정에서 더 깊어집니다.
오늘도 아이를 향한 따뜻한 시선,
그리고 나 자신을 향한 다정한 위로 잊지 마세요.
[함께 보면 좋은 글 추천]
'Circle of Security' 1 - 정서적 안정과 애착을 위한 부모 교육
'유아 교육,육아 > 부모가 먼저 배우는 육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친구를 따라 하는 우리 아이, 괜찮을까요? - 유아기의 모방 행동 (0) | 2025.05.07 |
---|---|
1-2세 언어 발달: 아이의 말문이 트이는 소중한 시기 (0) | 2025.05.06 |
끝이 없는 육아 스트레스, 나만 힘든 걸까? (0) | 2025.05.06 |
아이의 수줍음, 어떻게 이해하고 도와줄 수 있을까? (0) | 2025.05.04 |
'Circle of Security' 1 - 정서적 안정과 애착을 위한 부모 교육 (0) | 2025.05.01 |
우리 집에 아기 동생이 왔어요! 첫째 아이에게 동생 소개하는 행복한 방법 (2) | 2025.04.30 |
물웅덩이 놀이(Puddle Play) (0) | 2025.04.29 |
우는 아기 (0) | 2025.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