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언어발달

아기의 첫말은 모든 부모에게 특별한 감동을 줍니다. 생후 1년부터 2세까지는 아이가 세상과 소통하는 첫걸음을 내딛는 시기로, 언어 발달이 급속도로 이루어지는 시기입니다. 

 

1. 언어 발달 특징

언어 이해 능력 (수용 언어)

  • 간단한 지시어 이해: “이리 와”, “공 가져와” 같은 말에 반응을 보입니다.
  • 자주 듣는 단어 인식: '엄마', '우유', '강아지' 등 익숙한 단어에 행동이나 반응 보입니다.
  • 상황과 연결된 말 이해: “잘 자”라고 하면 잠자는 행동을 하려는 듯한 모습 보입니다.

표현 언어 (말하기)

  • 첫 단어 말하기: 12~18개월 사이에 '엄마', '아빠', '맘마' 등 의미 있는 단어 사용합니다.
  • 단어 수 증가: 18개월경 10~50개 정도의 단어 표현 가능합니다.
  • 의성어, 의태어 사용: 강아지를 보면 "멍멍!"과 같이 대상과 소리를 연결할 수 있습니다.
  • 자기만의 언어 사용: 사과를 보고 “까까”라고 말하는 식으로 의미 있는 소리로 표현합니다.
  • 몸짓과 말 결합: 손가락으로 가리키며 “이거”, “저거” 등 사용합니다.

의사소통 행동

  • 제스처, 소리로 표현: 컵을 가리키며 “아!” 하는 식으로 의사 표현합니다.
  • 상호작용 반응: 이름 부르면 돌아보고, 간단한 질문에 끄덕이기 등 반응합니다.
  • 반복적 언어 즐기기: 노래, 말장난 등에 관심을 보이고 따라 하려는 모습을 보입니다.

 

2. 언어 자극을 위한 부모의 역할

자주  걸기

  • 아이가 아직 말을 하지 못하더라도 부모가 먼저 말을 걸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금 사과 먹는 거야. 달콤하지?”, “이건 파란색 공이야” 등 일상 속에서 아이가 보는 것, 느끼는 것에 대해 자연스럽게 말해 주세요. 반복된 언어 자극은 아이의 어휘력을 키워주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아이의  따라주고 확장하기

  • 아이가 “멍!” 하고 말하면, “응, 멍멍이네! 강아지가 뛰어간다~” 하고 아이의 말을 확장해 주세요. 이런 방식은 아이가 더 많은 단어를 배울 수 있게 도와줍니다.

그림책 활용하기

  • 간단한 그림과 반복 문장이 있는 책을 읽어주며 그림을 가리키고, “이건 뭐지?”, “여기 강아지가 있네”처럼 상호작용을 유도해 주세요.

칭찬과 반응 보여주기

  • 아이가 말하려는 시도를 했을 때는 꼭 눈을 맞추고 미소 지으며 “잘 말했어”, “고마워~” 같은 긍정적인 반응을 보여주세요. 이러한 반응은 아이의 말하고자 하는 동기를 높여줍니다. 

일상  언어 자극 실천하기

  • 식사, 목욕, 산책 중 등 일상 속에서 자연스럽게 대화하며 언어 환경을 만들어 주세요.

 

3. 주의해야  

TV, 유튜브태블릿 노출 줄이기

  • 이 시기 아이는 사람과의 상호작용을 통해서만 언어를 배웁니다.
  • TV, 영상은 말소리를 듣게는 해주지만, 아이가 말을 연습하거나 반응할 기회가 없음 → 언어 발달에 도움이 되지 않아요.
  • 하루 노출 시간은 최소화, 되도록 함께 이야기하며 시청하는 것이 바람직해요.

아이의 말할 기회 존중하기

  • 부모가 아이 대신 말해주거나, 아이가 말하기 전에 모든 걸 다 해주면, 말할 기회를 놓치게 됩니다.
  • 아이가 천천히 말하도록 기다려주는 ‘말 기다려주기’가 매우 중요합니다.

서툰  지적하지 않기

  • 발음이 서툴거나 단어가 엉뚱해도, 지적하거나 교정하기보다 자연스럽게 바른 말로 다시 말해주는 방식이 좋습니다.

다른 아이와 비교하지 않기

  • 언어 발달은 개인차가 매우 큰 영역입니다.
  • 이웃 아이가 벌써 문장을 말한다고 해서 우리 아이가 느리다고 판단하긴 이릅니다.
  • 비교보다는 우리 아이의 지난달보다 얼마나 늘었는지를 보는 것이 더 의미 있어요.

부정적 언어 피하기

  • 아이가 말을 잘 못한다고 꾸짖거나 실망을 표현하면, 말하려는 의욕 자체를 꺾을 수 있어요.
  • 언어 발달은 칭찬과 기다림이 있어야 자연스럽게 이루어집니다.

 

4. 알아두면 좋은 

언어 발달은 개인차가 크다

  • 어떤 아기는 12개월에 이미 단어를 말하지만, 어떤 아기는 18개월이 넘어도 말이 느릴 수 있어요.
  • 말이 늦더라도 제스처, 표정, 반응력이 좋다면 발달의 일환으로 볼 수 있어요.
  • 너무 조급해하지 말고, 전체적인 소통 능력을 함께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듣기(수용 언어) 먼저 발달한다

  • 표현 언어(말하기)는 늦을 수 있지만, 아이가 엄마 말에 반응하고 지시를 따르려는 모습이 보인다면 언어 이해는 잘 되고 있는 거예요.
  • 말을 못 한다고 걱정하기보다는, 얼마나 이해하고 있는지에 주목해 보세요.

양육 환경이 언어 자극에  영향

  • TV나 태블릿 등 일방적인 자극보다는, 눈을 마주치고 대화하는 상호작용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 언어 자극은 따로 시간을 내기보다, 식사 중, 목욕할 때, 산책 중 자연스럽게 일상 속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좋아요.

이중언어 환경도 정상적인 발달 범주

  • 가정에서 두 가지 언어(예: 한국어+영어)를 사용하는 경우, 아이의 언어 발달이 잠시 느리게 보일 수 있지만 이는 정상적인 현상이에요.
  • 각 언어의 노출량과 사용 맥락이 고르게 유지되면, 아이는 결국 두 언어를 모두 습득할 수 있어요.

언어 지연 신호 체크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전문가 상담이 권장됩니다:

  • 18개월이 지나도 말로 표현되는 단어가 한 개도 없는 경우
  • 자신의 이름을 불러도 전혀 반응하지 않는 경우
  • 제스처, 표정, 눈맞춤 없이 혼자 노는 시간이 많고, 타인과 소통에 관심이 없는 경우

 

1~2세는 평생의 소통 능력을 다지는 시기입니다.

아이의 말에 귀 기울이고, 따뜻한 반응을 보여주는 것이 언어 발달의 가장 큰 밑거름이 됩니다. 오늘 하루, 아이와 눈을 맞추고 한 문장이라도 더 말 걸어보세요. 그 작은 대화가 아이의 세상을 넓히는 큰 힘이 됩니다.

 

 

[함께 보면 좋은  추천]

유아 발달 단계별 주요 특징 (1-2세)

300x250

+ Recent posts